정보처리기사 필기2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 sw개발 - 단계 

비용 산정 , 개발 , 계획 <= 골격 제공 

표준화 가능 

프로젝트 관리 

 

1. 폭포수형 모형 

1) 폭포수 모델을 따르기 위해서는 완전히 순차적으로 한 단계, 한 단계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 

폭포수 모델은 전 단계가 수행되어 완료되기 전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고객의 요구사항이 정확할 때 쓰는 방식이다. 

새 요구 사항을 반영할 수 없다. 

 

계획 -> 요구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사용자가 새 요구사항이 있어도 후에는 반영이 안됨 , 처음에 정확하게 요구

 

2. 프로토타입 모형

1) 개발초기에 시스템의 모형(원형, prototype)을 간단히 만들어 사용자에게 보여 주고,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을 직접 사용해보게 함으로써 프로토타입을 재구축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반속해 나가면서 시스템을 개선시켜 나가는 방식이다. 

 

사용자의 요구 사항 부정확

오류사항을 초기에 반영가능 

변경이 용이하다. 

단점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폐기에도 시간이 많이 듬

 

요구분석 -> 프로토타입 설계 -> 프로토타입 개발 -> 고객평가 

 

추가,변경,삭제 -> 즉시 반영 -> 설계

 

3. 나선형 모형 

1) 고객과의 소통을 통하여 계획수립과 위험분석 , 구축, 고객 평가의 과정을 거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복잡해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확정에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이다. 

 

단점 : 개발이 오래 걸림

대규모 시스템에 적합함

점진적으로 개발과정이 반복 , 추가 요구사항 반영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듬 

 

https://itwiki.kr/w/%EB%82%98%EC%84%A0%ED%98%95_%EB%AA%A8%EB%8D%B8

 

나선형 모델 - IT위키

 

itwiki.kr

4. 애자일

 

1) 고객과의 소통에 초점을 맞춘 방법론이다. 

유연하게 대처 ,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고객 요구사항 , 우선순위 부여 

핵심가치 : 프로세스 도구, 개인과 요구자와의 상호작용에 더 가치 

문서보다는 실행 소프트웨어에 가지 

계약이 아닌 고객과의 협업에 가치 

계획보다 변화에 대응에 가치 

 

12가지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지속적으로 적용해서 고객을 만족시킨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적극 수용 

매주 고객에게 보여줌 

고객과 함께 일한다. 

고객과 참여 의지가 큰 팀으로 구성 

작동 소프트웨어 

단순화를 추구 

 

 

1) 애자일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계획에 따르기 보다는 변화에 대응하는 것에 더 가치를 둔다. 

(2) 방대한 문서보다 제대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더 가치를 둔다. 

(3) 프로세서와 도구보다 개인과 그들의 협업에 더 가치를 둔다. 

(4) 고객과의 협력보다는 계약 협상에 더 가치를 둔다. 

 

답 : 4번 고객과의 협력에 더 가치를 둔다.